본문 바로가기

Web_Study/TypeScript

TypeScript_Project4:Type Definition

▶ 자바스크립트에서 타입스크립트로 이전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Case

  • 프로젝트 안에 자바스크립트와 타입스크립트 파일이 같이 있는 경우
  • tsconfig.json 파일에서 alloJs : true 속성 추가

tsconfig.json

  • 타입스크립트 안에 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한다는 의믜
  • 타입스크립트가 js파일안에 들어와서 함수를 다 불러올 수 있게됨
    • 해당 방식으로 자바스크립트 파일과 타입스크립트 파일을 섞어서 프로젝트를 진행해도 OK
    • 옛날코드는 자바스크립트로 새로운 코드는 타입스크립트로 작성하면됨

 

@ts-check JSDoc

  • 파일스크립트 파일이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확인하게도 하고 싶고 완전히 타입스크립트로 이전하고 싶지않은 경우
    • EX) 수천줄의 코드가 있는데, 당장 코드를 변경하고, 삭제하기를 원하지 않을 것
    • 코드가 엄청 많을때는 그냥 자바스크립트로 납두는것이 나음 -> 타입스크립트 보호를 조금 받고 싶을때!)
  • 이런걸 원하면 자바스크립트코드에 //@ts-check 이용
    • 타입스크립트 파일한테 해당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확인하라는 의미임
  • JSDoc는 쉽게 말해서 코멘트로 이루어진 문법임
    • 함수 바로위에 코멘트를 적어주면됨
    • 위에 저렇게 코멘트만 달아줘도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도 param 및 return값 타입지정가능
    • 만약에 해당 코드를 실제 웹사이트나 서버의 프로덕션 환경에서 사용 중이라면 당장 코드에서 에러날 걱정은 전혀 하지 않아도됨 - 코드에 코멘트를 더할뿐

'Web_Study > 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ypeScript_Project6:BlockChain_Final  (0) 2023.01.03
TypeScript_Project5:Blocks  (0) 2022.12.30
TypeScript_Project3:Type Definition  (0) 2022.07.27
TypeScript_Project2:Lib Configuration  (0) 2022.07.11
TypeScript_Project1:Target  (0) 2022.07.01